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발레 ‘돈 키호테’, 덴버 아트센터 공연 / Ballet ‘Don Quixote’, performing at the Denver Art Center

Asuka Sasaki by Allen Birnbach

  
클래식 발레인 돈 키호테는 프랑스 출신 안무가 클래식 발레의 아버지마리우스 프티파에 의해 연출됐다.

1869년 러시아 모스크바 볼쇼이 발레단의 의뢰로 처음 만들어진 이 작품은, 스페인의 대 문호 미겔 드 세르반테스의 동명 소설에 나오는 결혼 소동을 소재로 했다.

기사들의 무용담에 빠져, 자신을 진짜 기사라고 믿는 돈 키호테와 그의 시종 산초 판자는 모험을 떠났다가 키트리와 바질을 만나게 된다. 이후 돈 키호테와 산초 판자는 두 사람의 사랑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작품의 하이라이트는 키트리와 바질의 결혼 장면이다.

결혼식 장면에서의 그랑 파드되는 많은 발레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명장면이다.

아다지오에서 바리에이션으로, 그리고 남녀 무용수가 번갈아 가며 추는 코다로 구성된 그랑 파드되는 고난이도의 기교를 요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현대에 공연되는 돈 키호테는, 알렉산드르 고르스키가 개작한 작품이다.

전체적인 앙상블을 중요시한 고르스키의 작품은, ‘발레가 허공에서 땅으로 내려왔다는 평을 이끌어 내며, 대중적인 인기를 끌었다.

덴버 아트 센터에서 공연되는 발레 돈 키호테4일부터 오는 13일 까지 공연된다.




<Translation by google>



Classical ballet Don Quixote was directed by Marius Petipa, father of French ballet choreographer.

Originally commissioned by the Bolshoi Ballet in Moscow, Russia in 1869, the film was based on the marriage of the same name novel by the Spanish novelist Miguel de Cervantes.

Indulged in the saga of the knights, Don Quixote and his assistant Sancho Panza, who believe in themselves as a real knight, go on an adventure and meet Kitri and Basilio. Later on, Don Quixote and Sancho Panza became the bridge between the two.

The highlight of the performance is the marriage of Kitri and Basilio.

It is a scene that is loved by many ballet lovers who are grand pas de deux in the wedding scene.

From Adagio to Variation, and coda is dances alternately between male and female dancers is famous for requiring high level of finesse.

In the modern, Don Quixote is a version of Alexander Gorskii.

Gorskii's work, which emphasized the overall ensemble, led to the popular comment that Ballet came down from the air into the ground and became popular.

The ballet “Don Quixote”, performed at the Denver Art Center, will be performed from the 4th to the 13th.




K-News Denver


director@knewsdenver.com
[Copyright © knewsdenver.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인터뷰] 덴버 오로라 본스 치킨, '한국 임원에서, 미국 성공 신화'까지

 - 한국 기업 임원 생활 마다하고, 미국에서 이룬 '치킨' 성공 신화 - 오로라 소재, 본스 치킨의 사장이자, 본스 치킨  콜로라도 지사장인 오현식 사장을 만나봤다. 오현식 사장은, 지난해 12월 3일, 오로라에 소재한 쇼핑몰에, 한국 치킨 브랜드 '본스 치킨'의 문을 열었다. 그리고 3개월 뒤인 올해 3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매장 내 취식이 금지되면서, 배달과 테이크 아웃만 가능하게 됐다. 모든 개인 사업자들이 그랬듯, 코로나로 인해 매출에 악영향이 끼쳤다. 그러나 오 사장은 '맛이 좋으면, 손님이 찾게 돼 있다'는 신념으로, 정확한 레시피를 지키면서 맛에 집중했다. 그러자 신기하게도 매출이 서서히 올랐다. 오 사장은 "문을 연 지 3개월 만에 맞은 위기였지만, 기본에 충실했습니다. 본스 치킨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그는, "대마 그룹에 속한 본스 치킨의 이사로 있으면서, 브랜드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라며 말을 이었다. 운도 따랐다. 덴버 소재 프로 미식 축구 팀 선수인, 디마커스 워커가, 여자친구와 함께 본스 치킨을 방문했고, 그 맛에 매료돼 매주 금요일 800개의 치킨 윙을 구매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Eater Denver'라는 미국 언론 매체에 소개되면서, 한국인 보다는 현지인들에게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오 사장의 말에 따르면, 본스 치킨은 캘리포니아에만 20여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더불어 그는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저는 현재 콜로라도 지사장 직도 겸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 처럼, 콜로라도에서도 본스 치킨을 알려서 체인점을 만드는 것이 두 번째 목표입니다." 레시피를 지키면서, 기본에 충실한 오 사장의 신념이, 그의 꿈을 이뤄줄 것이라 믿어본다. K-News Denver director@knewsdenver.com

재미 대한체육회 ‘콜로라도 지회, 종목별 참가 가능할 수도...?’

지난 달 13일, 콜로라도 체육회(회장 이한원)가 출범한 가운데, 이미 콜로라도 체육회(회장 조기선)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재미 대한체육회 송민호 사무처장은, “두 단체가 원만히 타협점을 찾아, 스포츠를 통해 동포들의 통합을 이루고자하는 재미 대한체육회의 취지를 잘 살렸으면 한다”고 입장을 전했다. 송 사무처장은 또, “분쟁이 계속 될 경우, 지회를 통하지 않고도 종목별로 체전에 참가가 가능”하다고 말해,  이번 분쟁이 콜로라도 지역 스포츠 선수들의 전국체전 참가 등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K-News Denver     director@knewsdenver.com ​ ​ [Copyright © knewsdenver.com]

국토부, 테슬라 안전성 ‘조사중’

  지난달 10일, 서울 한남동의 한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테슬라 화재 사고가 났다. ​ 이 사고로 차주 B씨는 조수석에 갇혀 목숨을 잃었다. ​ 사고 당시 차량은 대리기사 A씨가 운전하고 있었다. A씨는 사고 직후 경찰 조사에서 “갑자기 차량 통제가 안됐다”라고 말해, 급발진을 의심하고 있다. ​ 경찰은 A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고, 사고 차량은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조사를 의뢰했다. ​ 시민들은 이번 사고로 테슬라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사고로 전기가 끊어졌을 시, 차량 밖에서 문을 열 수 없었다는데 문제가 있다. ​ 실제 테슬라3 모델에는 앞좌석에만 수동 열림 장치가 있고, 뒷자석에는 수동 열림 장치가 없어, 사고 등으로 인해 차량 전기가 끊길 경우 탈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이에 대해 테슬라 측은 “사고 후 멈추면 모든 문들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고, 에어백, 문, 브레이크, 운전대를 위한 예비 전력이 존재한다”며 의혹을 일축했다. ​ 테슬라 3를 제외한 다른 차종에는 모든 문에 수동 열림 장치가 있다. 그러나 사고 시 밖에서 문을 열 수 없다. ​ 한국 현행 법은 ‘차량 충돌 시, 공구 도움 없이 안팎에서 문을 열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기차는 전력 없이 기계적으로 문을 열 수 있다. ​ 그러나 테슬라는 한미 FTA 규정상, 한국 법을 따를 필요가 없다. ​ 이에 국토부는 테슬라의 안전성을 조사중에 있다. ​ ​ ​ ​ 사회부 기자 press@world-news7.com ​ ​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테슬라 #사고 #테슬라국내법 #테슬라폭발 #테슬라사망 #테슬라사망사고 ​ ​ ​ ⓒ WORLD-NEWS7 & www.world-news7.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http://www.world-news7.com/news/view.php?no=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