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대한체육회, '제2회 국제경기대회포럼' 개최

 [크기변환]보도(003-1)제2회 국제경기대회 포럼 포스터.jpg

 

대한체육회(회장 직무대행 이강래)는 1월 12()부터 13()까지 양일간 시도체육회회원종목단체지자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2회 국제경기대회 포럼을 개최한다이번 포럼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및 전국 5인 이상 집합 금지 명령 등 정부 방역 지침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라이브 강의로 진행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재정 후원하는 본 포럼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국제대회 유치 및 개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 기관에게 실제적인 전략 및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체육회문화체육관광부국민대학교경희대학교 등에서 각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하여 코로나19 시기 성공적인 국제대회 유치·개최 전략 및 대회 방역 방안을 모색하고 국제스포츠이벤트(ISE) 분야별 지식을 소개한다.

먼저 1월 12일에는 대한체육회에서 국제대회 유치 및 개최 역량 강화 사업을 소개하고코로나 시기 국제스포츠 동향 및 국제대회 유치 및 개최 전략 변화를 알아본다이어서 2020년 국내에서 국제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 대한바둑협회와 국내에서 국제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던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강연한 후, 2021년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제대회 공모사업 설명회가 진행된다.

1월 13일에는 대한사격연맹에서 2020년 국제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 해외 사례와 현재 연맹에서 진행 중인 2021년 국제대회 국내개최 준비 과정에 대해 소개한다또한코로나19 전후 각종 국제대회 조직위원회의 구성 변화를 살펴보고대한에어로빅힙합협회에서 2020년 국내에서 국제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 사례를 소개한다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대회 방역 안내에 이어코로나19 확산 시기 국제스포츠 트렌드 및 전략을 공유하는 시간도 마련되어있다.

대한체육회는 코로나 시대에도 시도체육회회원종목단체지자체 등 각 기관이 지속적으로 국제대회를 유치·개최하여 지역 발전 및 스포츠 선진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갈 방침이다.

한편대한체육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2019년부터 국제대회 유치 및 개최 역량강화 사업을 진행하여 국제스포츠이벤트(ISE) 유치 관련 합리적인 원칙과 기준을 마련하고우수사례 및 정보 등 데이터 기반을 구축하여 시도체육회 및 회원종목단체지자체 등에 공유하고 있다또한, 2021년에는 국제대회 유치 및 개최를 희망하는 단체에게 시범적으로 전문 컨설팅도 제공할 계획이다.

 

 

 

*시민 기자를 모집합니다. press@world-news7.com 으로 문의 바랍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인터뷰] 덴버 오로라 본스 치킨, '한국 임원에서, 미국 성공 신화'까지

 - 한국 기업 임원 생활 마다하고, 미국에서 이룬 '치킨' 성공 신화 - 오로라 소재, 본스 치킨의 사장이자, 본스 치킨  콜로라도 지사장인 오현식 사장을 만나봤다. 오현식 사장은, 지난해 12월 3일, 오로라에 소재한 쇼핑몰에, 한국 치킨 브랜드 '본스 치킨'의 문을 열었다. 그리고 3개월 뒤인 올해 3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매장 내 취식이 금지되면서, 배달과 테이크 아웃만 가능하게 됐다. 모든 개인 사업자들이 그랬듯, 코로나로 인해 매출에 악영향이 끼쳤다. 그러나 오 사장은 '맛이 좋으면, 손님이 찾게 돼 있다'는 신념으로, 정확한 레시피를 지키면서 맛에 집중했다. 그러자 신기하게도 매출이 서서히 올랐다. 오 사장은 "문을 연 지 3개월 만에 맞은 위기였지만, 기본에 충실했습니다. 본스 치킨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그는, "대마 그룹에 속한 본스 치킨의 이사로 있으면서, 브랜드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라며 말을 이었다. 운도 따랐다. 덴버 소재 프로 미식 축구 팀 선수인, 디마커스 워커가, 여자친구와 함께 본스 치킨을 방문했고, 그 맛에 매료돼 매주 금요일 800개의 치킨 윙을 구매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Eater Denver'라는 미국 언론 매체에 소개되면서, 한국인 보다는 현지인들에게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오 사장의 말에 따르면, 본스 치킨은 캘리포니아에만 20여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더불어 그는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저는 현재 콜로라도 지사장 직도 겸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 처럼, 콜로라도에서도 본스 치킨을 알려서 체인점을 만드는 것이 두 번째 목표입니다." 레시피를 지키면서, 기본에 충실한 오 사장의 신념이, 그의 꿈을 이뤄줄 것이라 믿어본다. K-News Denver director@knewsdenver.com

재미 대한체육회 ‘콜로라도 지회, 종목별 참가 가능할 수도...?’

지난 달 13일, 콜로라도 체육회(회장 이한원)가 출범한 가운데, 이미 콜로라도 체육회(회장 조기선)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재미 대한체육회 송민호 사무처장은, “두 단체가 원만히 타협점을 찾아, 스포츠를 통해 동포들의 통합을 이루고자하는 재미 대한체육회의 취지를 잘 살렸으면 한다”고 입장을 전했다. 송 사무처장은 또, “분쟁이 계속 될 경우, 지회를 통하지 않고도 종목별로 체전에 참가가 가능”하다고 말해,  이번 분쟁이 콜로라도 지역 스포츠 선수들의 전국체전 참가 등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K-News Denver     director@knewsdenver.com ​ ​ [Copyright © knewsdenver.com]

국토부, 테슬라 안전성 ‘조사중’

  지난달 10일, 서울 한남동의 한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테슬라 화재 사고가 났다. ​ 이 사고로 차주 B씨는 조수석에 갇혀 목숨을 잃었다. ​ 사고 당시 차량은 대리기사 A씨가 운전하고 있었다. A씨는 사고 직후 경찰 조사에서 “갑자기 차량 통제가 안됐다”라고 말해, 급발진을 의심하고 있다. ​ 경찰은 A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고, 사고 차량은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조사를 의뢰했다. ​ 시민들은 이번 사고로 테슬라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사고로 전기가 끊어졌을 시, 차량 밖에서 문을 열 수 없었다는데 문제가 있다. ​ 실제 테슬라3 모델에는 앞좌석에만 수동 열림 장치가 있고, 뒷자석에는 수동 열림 장치가 없어, 사고 등으로 인해 차량 전기가 끊길 경우 탈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이에 대해 테슬라 측은 “사고 후 멈추면 모든 문들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고, 에어백, 문, 브레이크, 운전대를 위한 예비 전력이 존재한다”며 의혹을 일축했다. ​ 테슬라 3를 제외한 다른 차종에는 모든 문에 수동 열림 장치가 있다. 그러나 사고 시 밖에서 문을 열 수 없다. ​ 한국 현행 법은 ‘차량 충돌 시, 공구 도움 없이 안팎에서 문을 열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기차는 전력 없이 기계적으로 문을 열 수 있다. ​ 그러나 테슬라는 한미 FTA 규정상, 한국 법을 따를 필요가 없다. ​ 이에 국토부는 테슬라의 안전성을 조사중에 있다. ​ ​ ​ ​ 사회부 기자 press@world-news7.com ​ ​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테슬라 #사고 #테슬라국내법 #테슬라폭발 #테슬라사망 #테슬라사망사고 ​ ​ ​ ⓒ WORLD-NEWS7 & www.world-news7.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http://www.world-news7.com/news/view.php?no=272